![]() |
This file photo taken on June 17, 2014 in Washington, DC, shows bitcoin medals which use peer-to-peer technology to operate with no central authority or banks; managing transactions and the issuing of bitcoins is carried out collectively by the network. / AFP-Yonhap |
The price of major cryptocurrencies in Korea are plunging amid a series of heightened warnings from regulators here. The Bitcoin price here stood at $50,000 as of 11 a.m. at Upbit, a Seoul-based cryptocurrency exchange, down 6.61 percent from a day earlier.
국내 금융 당국의 경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국내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서울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의 국내 비트코인 가격은 오전 11시 기준 개당 5만달러(약 5593만원)로 하루 전보다 6.61% 하락했다.
The price of the world's largest cryptocurrency soared to a record high of 80 million won in mid-April, but has since displayed a downward spiral.
세계 최대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의 가격은 4월 중순 8천만원으로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An unprecedented cryptocurrency craze here has been a major factor in driving up the values of major digital assets. But warnings have surfaced again that retail investors should think twice before jumping on the bandwagon, as the high volatility of cryptocurrency prices poses huge uncertainties.
유례없는 국내 암호화폐 열풍이 주요 가상화폐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암호화폐의 높은 가격 변동성이 큰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개인투자자들은 신중하게 생각하고 시류에 편승해야 한다는 경고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The price of Dogecoin, a meme-based cryptocurrency, also plunged 17 percent Friday morning from a day earlier. Dogecoin's market capitalization recently topped $50 billion, but has now fallen below the $40 billion mark.
밈 소재로 만들어진 암호화폐 도지코인의 금요일 아침 가격도 하루 전보다 17% 급락했다. 도지코인의 시가총액은 최근 500억달러를 넘어섰으나 현재 400억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The price falls of major virtual assets is attributable to repeated gestures by authorities to crack down on any speculative transactions involving them.
주요 가상화폐의 가격하락은 관련 투기거래를 단속하려는 당국의 거듭된 제스처 때문이다.
Regulators, such a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FSC) and the Bank of Korea (BOK), are voicing increasing concerns over the cryptocurrency trading fever particularly among younger Koreans.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등 금융당국은 젊은 층의 암호화폐 투자 열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Virtual assets have too many restrictions in terms of their usage as a means of payment," BOK Governor Lee Ju-yeol said at a recent press conference. "We maintain our position that they do not have any inherent value."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암호화폐가 지급수단으로 사용되는 데에는 제약이 많다"며 "내재가치가 없다는 기존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FSC Chairman Eun Sung-soo also remained skeptical over cryptocurrencies, hinting at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ighter regulations against any speculative trading of digital assets.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암호화폐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며 이 디지털자산의 투기거래에 대해 더 엄격한 규제를 도입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Eun also made it clear that authorities will not take responsibility for any losses stemming from cryptocurrency investments.
은 위원장은 암호화폐 투자에 따른 손실에 대해서도 당국이 책임을 지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코리아타임스위클리
"시사와 영어를 한 번에"
Korea Times Week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