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sbank |
By Lee Hae-rin
Kim Yeon-ju, a 30-year-old housewife, recently took a personality test to figure out who she is.
가정주부인 김연주(30)씨는 최근 자신이 누구인지 이해하기 위해 성격 검사를 받았다.
"Just like many other people, I don't exactly know who I am," she told The Korea Times. "I sometimes wonder why I am like this, and am curious what makes me feel good or bad. I've taken several different types of tests to know myself better and the MBTI is one that I tried recently."
김 씨는 코리아타임스에 "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나 역시 내가 누구인지 정확히 모른다"며 "가끔 내가 왜 이런지, 무엇이 내 기분을 좋게 혹은 나쁘게 만드는지 궁금하다. 나를 더 잘 알기 위해 여러 유형의 검사를 받았고 MBTI는 최근에 받은 검사"라고 말했다.
MBTI, which stands for MyersBriggs Type Indicator, is a personality test. People answer a questionnaire based on a personality theory developed by Isabel Myers and Katharine Briggs in 1943. It measures their preferences on Myers and Briggs' four dimensions of personality types.
MBTI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성격 검사 중 하나다. 사람들은 1943년 이사벨 마이어스와 캐서린 브릭스가 개발한 성격 이론에 바탕을 둔 설문지에 답한다. 설문지는 마이어스와 브릭스의 4가지 성격 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한다.
Kim first took the test when she was in high school. Her homeroom teacher wanted to figure out her students' personality types. So under her guidance, all of her students took the test with a certified MBTI practitioner.
김 씨는 고등학교 때 처음 해당 검사를 받았다. 김 씨의 담임 교사는 학생들의 성격 유형을 파악하길 원했다. 담임 교사의 지도 하에 학급 내 모든 학생은 보증된 MBTI 전문가와 함께 검사를 받았다.
"I don't remember what my type was back then, but I was the only student having that type," she said. "My teacher explained what type of person I was based on the personality test which struck a chord with me. I attended a boarding school and suffered from a mild case of depression. I became emotional because I felt what my teacher had said to me was true."
김 씨는 "당시 내 MBTI 유형이 뭐였는지는 기억이 안 나지만 나는 그 유형에 해당하는 유일한 학생이었다"고 말했다. "담임 선생님은 내가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 해당 성격 검사에 기반해 설명해주셨는데 (그 설명에) 많이 공감했다. 나는 기숙학교에 다녔고 가벼운 우울증에 시달렸다. 선생님이 나에게 해주신 말씀이 사실이라고 느꼈기 때문에 감정이 북받쳤다."
Kim said she felt she was understood by others when hearing her teacher's explanation of the test results.
김 씨는 검사 결과에 대한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다른 사람에게 이해 받는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The MBTI personality test has become the newest fad among Koreans, particularly among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better known as MZ in Korea.
MBTI 성격검사는 한국인, 그 중 특히 MZ세대로 더 잘 알려진 밀레니얼과 Z세대 사이에서 최신 유행이 되었다.
A Hankook Research survey taken last December found that over half of Koreans have taken the MBTI test. Nine out of every 10 people aged between 19 and 28 responded they took the test, showing the personality type test has become a sensation among younger generations.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12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절반 이상이 MBTI 검사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28세 인구 10명 중 9명이 해당 검사를 받았다고 답해 MBTI 검사가 젊은 세대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음을 보여줬다.
MBTI even became a presidential election issue. Candidates during the latest presidential race tried to woo younger voters by sharing their MBTI results online.
MBTI는 대선 이슈가 되기도 했다. 최근 대선에서 후보자들은 자신의 MBTI 결과를 온라인에 공유하여 젊은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려 했다.
Then presidential candidate Yoon Suk-yeol said his type is ENFJ, just like former U.S. President Barack Obama — an altruistic protagonist and a natural-born leader with charisma and passion. His rival Lee Jae-myung also took the test but he only unveiled "partial" results of his test.
그러자 윤석열 대통령 후보는 자신의 성격 유형이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과 같으며 카리스마와 열정을 가진 이타주의 주창자이자 천부적인 리더인 ENFJ형이라고 말했다. 라이벌 이재명도 검사를 받았지만 결과의 '일부'만 공개했다.
KEY WORDS
■ figure out 이해하다, 알아내다
■ questionnaire 설문지
■ preference 선호(도)
■ dimension 크기, 규모
■ guidance (특히 연장자•경력자에 의한) 지도[안내]
■ certified 보증된
■ practitioner 전문가
■ strike a chord with ~의 심금을 울리다
■ fad (일시적인) 유행
■ sensation 돌풍을 불러일으키는 것
■ woo 지지를 호소하다
■ altruistic 이타적인
■ unveil 밝히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