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very Monday, Wednesday and Friday morning at 5 a.m., Kim Ye-ji, 32, starts her day as a janitor. After waking up, she rushes to an office building and arms herself with a broom and a mop. Her day working at multiplex housing complexes, hospitals and other facilities comes to an end in the early afternoon when most people are thinking about what to eat for lunch.
매주 월수금 새벽 5시, 김예지 씨(32)는 건물 청소부로서 하루를 시작한다. 김 씨는 아침에 일어나 사무실 건물로 신속히 이동해 빗자루와 대걸레를 챙긴다. 다세대 주택 단지, 병원 및 다른 시설들에서 일하는 김씨의 하루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지 생각하는 이른 오후에 끝이 난다.
Bae Yoon-seul, 28, is another millennial who starts her day early in the morning.
배윤슬 씨(28)도 새벽 일찍 하루를 시작하는 밀레니얼 세대 청년이다.
Waking up ― also at 5 a.m. ― to the sound of her alarm, she spends more than an hour travelling to a construction site where she joins a crew of workers putting up wallpaper in newly built apartments.
마찬가지로 새벽 5시에 알람을 듣고 일어나 한 시간 이상을 이동해 신축 아파트에 벽지를 붙이는 인부들이 있는 건설 현장에 도착한다.
In the past, it was considered "improper" for university graduates to even consider taking on blue-collar jobs such as cleaning and hanging wallpaper.
과거에는 대졸자가 청소나 벽지 도배와 같은 육체노동적 일자리까지 고민하는 것이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졌었다.
"At work, several people used to come up to me and ask, 'Young people do this stuff?' or 'Is this your part-time job?' Sometimes, they would think I'm a young mother in need of money. I'm just doing my job, but they would come up with all these stories as to the reasons for my choice of occupation," Kim told The Korea Times.
김 씨는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일을 하다가 사람들이 종종 찾아와서 ‘젊은 사람이 이런 일을 해?'라고 물어보곤 한다. 사람들은 가끔 내가 돈이 필요한 젊은 엄마라고 생각한다. 그냥 내 일을 할 뿐인데 이 직업을 선택한 이유들에 관해 이런 이야기들을 늘어놓는 것 같다"고 전했다.
The career decisions of these two people, however, actually aren't unheard of among the country's Millennials.
그러나 이 두 사람의 직업 결정은 국내 밀레니얼 세대들에게 전례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In 2020, Jinju and Changwon citie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nounced job openings for the city's street cleaners. Nearly half of the applicants were in their 20s and 30s ― 64 out of 111 candidates in Jinju and 341 out of 727 candidates in Changwon.
지난 해 경상남도 진주시와 창원시는 환경미화원 채용 공고를 냈다. 진주시 지원자 111명 중 65명이, 창원시 지원자 727명 중 341명이 2-30대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This trend of Millennials choosing a wider array of jobs that diverge from ones typically considered by the older generation as more "prestigious and profitable" has become more prominent in recent years.
밀레니얼 세대가 이전 세대에서 일반적으로 '번듯하고 급여가 높은' 직업이라 고려했던 직업들로부터 갈라지는 다양한 종류의 직업군을 선택하는 유행은 최근 몇 년 간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KEY WORDS
■ broom 빗자루
■ facility 시설
■ occupation 직업
■ unheard-of 전례가 없는
■ diverge 갈라지다
■ prestigious 명성 있는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