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sbank |
PARIS (AFP) ― The coronavirus pandemic is likely to have a "profound and pervasive impact" on global mental health as billions struggle to cope with isolated living and anxiety spikes, experts warned Thursday.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으로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격리된 생활과 증폭된 불안감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전 세계인의 정신건강에 '극심하고 광범위한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경고했다.
In a paper published in Lancet Psychiatry, a panel of 24 specialists call for more funding for research into the impacts COVID-19 may have on society's mental well-being.
란셋 정신의학저널에 발표된 논문에서, 24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코로나19가 인류 사회의 정신적 행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더 많은 자금을 요청했다.
Two accompanying surveys of the British public showed that most people questioned had experienced heightened anxiety and fear of becoming mentally unwell since the pandemic struck.
영국 대중들에 대한 두 번의 조사는 대부분의 사람이 전염병이 발생한 이후 정신적으로 좋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에 대한 높은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했다는 것을 증명했다.
"We are all dealing with unprecedented uncertainty and major changes to the way we live our lives as a result of coronavirus," said lead author Emily Holmes from Uppsala University's department of psychology.
"우리는 모두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에 전례 없는 불확실성과 중대한 변화에 맞서고 있다"고 에밀리 홈즈 웁살라 대학 심리학과 교수이자 수석 저자는 말했다.
"Our surveys show these changes are already having a considerable impact on our mental health."
이어 "우리의 조사는 이러한 변화가 이미 우리의 정신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그는 덧붙였다.
The authors called for real-time monitoring of anxiety, depression, self-harm and suicide across the world, as well as the creation of treatment programs that can be accessed remotely.
저자들은 전 세계의 불안, 우울증, 자해, 자살에 대한 실시간 감시와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는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요구했다.
"This needs to be on a bigger scale than we have ever seen previously, and must be coordinated, targeted and comprehensive," said Matthew Hotopf, from King's College London's Institute of Psychiatry, Psychology and Neuroscience.
"이는 우리가 이전에 겪었던 것보다 더 큰 규모여야 하며, 조정되고, 목표화되며, 포괄적이어야 한다"고 킹스칼리지 런던의 정신의학심리학신경과학연구소의 매튜 호톱프 박사는 주장했다.
Studies into the mental health impact of previous disease outbreaks, such as the SARS epidemic in the early 2000s, showed a clear increase in suicide rates and the number of health care workers who experience emotional distress.
2000년대 초 사스(SARS) 유행과 같은 이전에 발생한 질병들이 정신건강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자살률과 정서적 고통을 겪는 의료 종사자의 수가 확실히 증가한 것을 보여주었다.
But the impact of the COVID-19 epidemic is unprecedented, with billions of people forced to isolate at home and no end in sight even after social distancing measures are eased.
그러나 코로나19 전염병의 영향은 전례가 없는 것으로,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집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었으며 사회적 거리 두기 방침이 완화됐음에도 그 끝이 보이지 않는다.
KEY WORDS
■ profound 엄청난, 극심한
■ unwell 아픈
■ distress 고통, 괴로움
■ Psychiatry 정신 의학, 정신 과학
코리아타임스위클리 - 지미홍 편집장
"시사와 영어를 한 번에"
Korea Times Weekly
☞ 언제 어디서나 '영어+한글'로 'WORLD NEWS' 읽기
■ 모바일: m.koreatimes.co.kr/weekly.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