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 거제시 아주동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연합 |
DSME should pursue self-rescue efforts to stay afloat
대우조선해양, 생존을 위한 자구책 마련 해야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DSME) has signed a preliminary investment deal with Hanwha Group, paving the way for the latter's takeover of the debt-ridden shipyard. Under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signed between the two, Hanwha's subsidiaries will participate in a 2 trillion won ($1.4 billion) rights offering for a 49.3 percent stake.
대우조선해양이 한화그룹과 예비투자계약을 체결해 부채에 시달리는 조선소 인수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한화그룹 계열사는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지분률 49.3%)를 포함한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체결했다.
The deal, if finalized, will enable DSME to find a new owner since it was put under the control of state-run Korea Development Bank (KDB) in 2001. Hanwha first attempted to acquire DSME in 2008, but to no avail due to a liquidity crunch ami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t the time. Equipped with competitive prowess in the defense industry and energy, Hanwha apparently seeks to take advantage of DSME's units that manufacture special purpose vessels (military ships like submarines).
이번 거래가 성사되면 대우조선해양은 2001년 산업은행이 인수한 이후 (21년 만에) 새 주인을 찾게 된다. 한화그룹은 2008년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처음 시도했지만 당시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유동성 문제가 맞물려 포기했다. 방위 산업과 에너지 분야에 경쟁력을 갖춘 한화는 특수선(잠수함 등의 군용 선박)을 생산하는 대우조선해양의 강점을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DSME will also gain momentum in its bid to get back on track under the new ownership. Expectations are mounting that Hanwha's possible takeover will help boost the domestic shipbuilding industry as the nation's seventh-largest conglomerate will better manage the troubled shipbuilder and end the sluggish performance.
대우조선해양 역시 새 소유권으로 경영 정상화에 오르기 위한 추진력을 얻을 것이다. 한화의 인수는 국내 7위의 대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사를 잘 관리하고 부진한 실적을 끝내 국내 조선업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Despite such positive aspects, concerns are also increasing. First, DSME should make utmost efforts to stay afloat, boosted by the envisioned takeover. DSME has been hemorrhaging over the past two years despite recent signs of robust overseas orders. Its losses accumulated to 7.7 trillion won over the past 10 years, including a 1.7 trillion won deficit posted last year.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우려도 커지고 있다. 첫째, 대우조선해양은 인수합병을 통해 살아남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해외 수주 호조에도 불구하고 지난 2년 동안 자산 손실을 겪었다. 지난해 적자 1조 7000억원을 포함해 지난 10년간 7조 7000억원의 적자를 냈다.
Its debt-to-equity ratio stood at 676 percent with total debt surpassing 10 trillion won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More than 12 trillion won of taxpayers' money has been poured into the troubled shipbuilder since 2001. This means the shipyard has managed to survive only due to state budget infusions. Against this backdrop, an easy-going atmosphere has been gripping the firm, coupled with lax practices.
부채비율은 676%로 올해 상반기 부채 총액이 10조원을 넘어섰다. 2001년부터 12조원이 넘는 납세자들의 돈이 이 곤경에 빠진 조선소에 쏟아졌다. 이는 조선소가 국가 예산 투입으로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느슨한 관행과 더불어 해이한 분위기가 회사에 만연해 있다.
For starters, the previous managements, mainly consisting of elite officials appointed to the positions, attempted to fabricate financial statements to conceal huge amounts of losses. Its trade union played a major role in rupturing the envisioned merger between DSME and Hyundai Heavy Industries (HHI) by visiting the EU's headquarters in January, calling for the deal to be disapproved. It has also triggered a "low-price" competition, dealing setbacks to domestic shipyards.
우선 정권 엘리트 간부들로 구성된 전임 경영진은 막대한 손실을 감추기 위해 재무제표를 조작하려 했다. 노조는 지난 1월 유럽연합(EU) 본부를 찾아가 합병 불허를 요청하며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의 합병 무산에 큰 역할을 했다. 합병 무산은 국내 조선소에 차질을 빚는 "저가" 경쟁 역시 촉발했다.
More recently, DSME's subcontracted workers staged a sit-in protest, resulting in 700 billion won in damage. The protest was triggered by the practice of saving costs via multilayered subcontracts after orders were won at very low prices. KDB is poised to determine the final acquirer by the end of the year to complete the takeover by the first half of 2023. DSME's trade union vowed Tuesday to stage an all-out protest against any unilateral push for a sale without the union's consent. The trade union issue will surely become the biggest barrier to the envisaged takeover.
최근에는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동자들이 연좌농성을 벌여 7000억원 대의 피해를 입혔다. 이 시위는 저가 수주한 후 다층 하도급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관행에 의해 촉발되었다. 산업은행은 2023년 상반기까지 인수를 완료하기 위해 연말까지 최종 인수자를 결정할 예정이다. 화요일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노조의 동의 없는 일방적인 매각 추진에 대해 전면 항의하겠다고 밝혔다. 노동조합 문제는 분명히 계획된 인수에 가장 큰 장벽이 될 것으로 보인다.
9월 28일 (수)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pave the way (~을 위한) 길을 닦다
■ debt-ridden 적자에 허덕이는
■ crunch 부족 사태
■ boost 북돋우다
■ stay afloat 빚지지 않고 있다
■ setback 차질
■ subcontract 하청을 주다
■ all-out 총력을 기울인, 전면적인
■ envisage (미래의 일을) 예상[상상]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