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taff members of the 2022 Jeju World Heritage Festival walk down the stairs in Gimnyeonggul on Jeju Island, during a press tour held to promote the festival, Aug. 24. Courtesy of World Natural Heritage Village Preservation Association 8월 24일 2022 제주 ‘세계유산축전' 운영요원들이 축제 홍보를 위해 열린 프로모션 투어에서 제주도 김녕굴의 계단을 걸어 내려가고 있다. |
By Kwak Yeon-soo
JEJU ISLAND — The World Heritage Festival on Jeju Island, which seeks to promote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volcanic island's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ites, will return for the third year with a promise to be bigger and more exciting than ever.
제주도 — 제주 화산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의 문화적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세계유산축전'이 더 큰 규모와 재미를 약속하며 3년 만에 돌아온다.
It marks the return of the in-person event that was put on hold as the festival had to cancel live events and offer online alternatives last year due to COVID-19 restrictions.
코로나19 제한으로 지난해 축전은 오프라인 행사를 취소하고 온라인 대체 행사를 제공했기 때문에 이번 축전은 연기된 대면 행사의 귀환을 보여준다.
The World Heritage Festival was launched in 2020 to promote UNESCO-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sites in Korea. This year, Jeju was chosen along with the cities of Andong and Yeongju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Suwon in Gyeonggi Province to hold the festival.
‘세계유산축전'은 한국 유네스코 지정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홍보를 위해 2020년에 시작되었다. 제주도는 올해 경상북도 안동과 영주, 경기도 수원과 더불어 해당 축전의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
Under the theme of "Connect," the 2022 World Heritage Festival in Jeju Island will be held from Oct. 1 to 16 at three sites —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Mount Halla and Seongsan Ilchulbong Tuff Cone.
2022 제주 세계유산축전은 "연결(connect)"이라는 주제 아래 10월 1일부터 16일까지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그리고 성산일출봉 세 곳에서 열린다.
Collectively, they were designated as a UNESCO Natural Heritage site in 2007. Since then, these locations have been strictly protec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with unauthorized entry being barred.
이 세 곳은 2007년에 공통적으로 유네스코 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이 세 곳은 사전 허가 없는 입장을 금하며 문화재청에 의해 엄격하게 보호되어 왔다.
Manjanggul (Manjang Cave), a part of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is a 7.4-kilometer-long lava tube known for its multi-colored carbonate roofs and floors and dark-colored lava walls. However, only 1 kilometer of the No. 2 entrance has been open to the public as a tourist attraction. The remaining No. 1 and No. 3 entrances are normally off-limits to visitors. Gimnyeonggul and Bengdwigul are usually closed to tourists.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일부분인 만장굴(만장 동굴)은 다채로운 탄산염 천장과 어두운 용암벽으로 잘 알려진 길이 7.4km의 대형 용암 동굴이다. 그러나 2구간의 1km만 대중에게 관광 명소로 공개되었다. 나머지 1구간과 3구간은 일반 방문객은 접근 금지다. 거문오름과 벵뒤굴도 일반 관광객에게 닫혀있다.
However, selected participants among those who sign up for the expedition will be granted full access to Manjanggul, Gimnyeonggul and Bendwigul to see traces of lava that erupted from Geomunoreum.
하지만 탐험을 신청해 선정된 일부 참가자들은 거문오름에서 분출되었던 용암의 흔적을 보기 위해 만장굴, 거문오름과 벵뒤굴의 모든 영역에 대한 접근권을 제공받게 된다.
"Although there is still a debate over the date of volcanic eruption, it is widely believed that an immense volume of magma erupted from Geomunoreun about 8,000 years ago," said Kim Sung-soo, chief of the walking trail program.
워킹투어 프로그램 김성수 단장은 "화산 분출에 대해 아직 논란이 있지만 약 8천년 전에 거문오름에서 어마어마한 양의 용암이 분출되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KEY WORDS
■ promote 고취하다, 홍보하다
■ in-person 직접
■ put on hold ~을 보류[연기]하다
■ designate 지정하다
■ launch 시작하다
■ unauthorized 공인되지 않은
■ bar 막다, 차단하다
■ off-limits 출입금지의
■ lava 용암
■ erupt 분출하다
■ immense 엄청난, 어마어마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