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women-only parking space at a public parking lot in Jongno, Seoul / Korea Times file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여성 전용 주차장 |
More women choose gender segregation in fear of possible sex offenses
성범죄 우려에 많은 여성들이 성별 구분 시설 선택해
By Lee Hyo-jin
Jeong Ye-ji, a 31-year-old female office worker living in Gwanak District, Seoul, switched her gym to a women-only fitness center two months ago, which has made her workout routines more satisfying.
서울시 관악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정예지(31) 씨는 두 달 전 여성 전용 헬스장으로 옮겼는데, 이는 그녀의 운동 루틴을 더 만족스럽게 만들었다.
"For one thing, I became more confident since I don't have to worry about getting unwanted stares from men. I can wear tight outfits such as leggings, cycling pants and tank tops without feeling self-conscious," she said.
정 씨는 "우선, 남성들로부터 원치 않는 시선을 받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 자신감이 생겼다. 레깅스, 사이클링 바지나 탱크톱과 같이 딱 붙는 옷을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입을 수 있다"고 전했다.
Jeong also feels that the gym is better suited for women.
또 정 씨는 지금 헬스장이 여성들에게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I like the fact that there's a variety of lighter dumbbells, weight plates and a bigger stretching zone compared to my previous gym. And being surrounded by same gender people, I don't feel intimidated while using weight machines that I'm not very good at," she said.
"이전 헬스장에 비해 더 가벼운 덤벨이나 무게판들이 다양하게 있고 스트레칭 공간이 넓다는 점이 마음에 든다. 그리고 같은 여성들과 함께 있기 때문에 내가 잘 못 하는 웨이트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겁이 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Gyms are not the only facilities limiting their service only to women.
서비스 이용을 여성으로 제한하는 시설은 헬스장만이 아니다.
In recent years, an increasing number of female-only spaces has been emerging in Korea, ranging from study cafes, "gosiwon" or dormitory-style flats, guest houses and shared offices to camping sites.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에서는 스터디카페를 비롯한 고시원 혹은 기숙사 형태의 아파트, 게스트 하우스, 공유 오피스에서 캠핑장에 이르기까지 여성 전용 시설이 많이 생겨났다.
A camping site launched in May located in Cheon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is open only to women who want to enjoy a quiet and peaceful experience in the absence of men, according to an online community of campers.
온라인 야영객 커뮤니티에 따르면 5월 충청남도 천안시에 새로 설치된 캠핑장은 남성 없이 조용하고 평화로운 경험을 즐기고 싶어 하는 여성들만 사용이 가능하다.
Gender segregation can also be found it government policies.
성별 구분은 정부 정책에서도 발견된다.
In June of this yea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llowed taxi ride-sharing services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practice was prohibited in 1982. However, except for van-type cabs which accommodate five passengers and more, ride-sharing is limited only between people of the same sex.
올해 6월 국토교통부는 1982년 택시 합승 정책이 금지된 이후 처음으로 이를 재허용했다. 그러나, 5인 이상 탑승할 수 있는 밴 형식의 택시를 제외하고 합승은 동성 간에만 가능하다.
The ministry explained that the measures are aimed at alleviating people's anxiety from sharing a ride with a stranger, as well as concerns of potential crimes.
국토교통부는 위 조치가 잠재적 범죄 우려와 낯선 사람과 합승하는 불안감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Experts view that the main reason why more women are opting for single-sex facilities is the fear of becoming the victim of sex offenses such as voyeurism, stalking and rape, which have surged in recent years.
전문가들은 최근 몇 년 사이 급증한 관음, 스토킹 및 강간과 같은 성범죄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점점 더 많은 여성이 여성 전용 시설을 선택한다고 생각한다.
"It is regretful that women search for such spaces and are willing to spend money specifically to stay away from men. But at the same time, it shows how our society has been failing to provide a safe environment for them," said Yun Ji-yeong, a professor of philosophy a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an expert on gender-related issues.
윤지영 창원대학교 철학과 교수 및 젠더 이슈 전문가는 "여성들이 그러한 공간을 찾고 특히 남성에게서 떨어져 있기 위해 기꺼이 돈을 더 쓴다는 사실이 유감스럽다. 동시에 우리 사회가 여성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실패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Women are very concerned about becoming the targets of gender-based crimes which seem to take place anywhere, anytime. Illegal filming using hidden cameras, for instance, occurs not only in public restrooms, but also in places like libraries, hotels, or even at home," she explained.
"여성은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 성범죄의 피해자가 되는 것에 대해 매우 걱정한다. 예를 들어, 숨겨진 카메라를 사용하는 불법 촬영은 공중화장실뿐만 아니라 도서관, 호텔, 심지어는 집에서도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KEY WORDS
■ segregation 분리[차별] 정책
■ self-conscious 남의 시선을 의식하는
■ intimidated 겁을 내는
■ facility 시설
■ emerge 생겨나다, 부상하다, 부각되다
■ in the absence of ~이 없을 때에
■ prohibit 금지하다
■ alleviate 완화하다
■ voyeurism 관음증
■ surge 급증, 급등
■ specifically 분명히, 명확하게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