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mbulances are parked at an entrance to the ER of Seoul Medical Center in Jungnang District, Seoul, March 11. Newsis 3월 11일 서울시 중랑구 서울의료원 응급실 출입구에 구급차가 주차되어 있다. |
By Lee Hyo-jin
Doctors are urging the government to step up efforts to stem workplace violence as assault cases against emergency room staff by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re increasing to an alarming level.
응급실 의료진에 대한 환자 및 보호자들의 폭행 사건이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의사들이 정부에 병원 내 폭력을 막기 위한 노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Unlike other hospital departments where patients need to schedule an appointment to see a doctor, ER workers have to see everyone who walks through the door, which leaves them more prone to violent outbursts.
의사에게 진료받기 위해 예약을 해야 하는 다른 의료 기관과는 달리 응급실 의료진들은 문을 통해 들어서는 모든 사람을 응대해야 하는데, 이는 의료진들을 폭력 사건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
In June of this year, an ER doctor working at a hospital Yongin, Gyeonggi Province, was attacked by a 74-year-old man with a sickle and suffered injuries to the back of his neck. The man later told the police that he acted out of anger after his wife passed away while undergoing treatment there a few days earlier.
올해 6월 경기도 용인시 한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의사가 74세 노인에게 낫으로 공격 당해 목 뒤쪽을 다쳤다. 노인은 사건이 벌어지기 며칠 전 아내가 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도중 사망한 이후 분노가 치밀어 범행을 저질렀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Later that month, a 60-something man, who was disgruntled by a delay in treatment for his wife, set fire to an emergency room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causing 46 patients and staffers to evacuate.
6월 말에는 아내의 치료 지연에 불만을 품은 60대 남성이 부산시에 위치한 부산대학교 병원 응급실에 방화를 저질러 환자와 의료진 46명이 대피했다.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KMA) surveyed 1,206 ER physicians in June and found that 78 percent of them had experienced verbal or physical assaults by a patient or guardian within the last couple of years.
6월 대한의사협회(KMA)가 응급실 의료진 1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응답자 78%가 최근 1년간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When asked how they reacted to the violence, 45 percent replied that they just tolerated it, while 29 percent called the police and another 20 percent reported it to hospital management.
폭력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물어보는 질문에 응답자 45%는 참는다고 답했으며 29%는 경찰에 신고를, 20%는 병원에 보고한다고 응답했다.
Park Soo-hyun, a spokesperson of the KMA and an ER doctor at CHA Bundang Women's Medical Center, says the survey results are troubling, yet not surprising.
박수현 대한의사협회 대변인 겸 분당차여성병원 응급실 의사는 설문조사 결과는 염려스럽지만 놀라운 일은 아니라고 전했다.
"There are so many violent incidents in ERs that aren't reported in the news. Violence involving pushing, grabbing the staff or throwing things at them occurs literally every day," she said, sharing an incident at her hospital in which a nurse was pulled by her hair by an intoxicated patient.
박 대변인은 "뉴스에 보도되지 않는 응급실 내 폭력 사건들이 아주 많다. 의료진을 밀거나, 붙잡거나, 이들을 향해 물건을 던지는 일과 같은 폭력은 말 그대로 매일 발생한다"며 자신이 근무하던 병원에서 만취한 환자가 간호사의 머리를 잡아당겼던 사건을 나누었다.
"Not only do these cases leave medical workers with physical injuries, but also with long-lasting psychological trauma, which is often overlooked. Being threatened and attacked by a person you are caring for decreases morale and could affect how they treat patients."
"이런 사건들은 의료진들에게 신체적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심리적 외상을 남기곤 하는데, 이러한 사실은 종종 간과된다. 돌보던 사람에게 위협 및 공격을 받는 일은 사기를 감소시키고 의료진이 환자를 대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Violence against doctors harms patient care, too. For instance, in the event of an arson attack, patients receiving dialysis treatment or on ventilators cannot be evacuated swiftly, putting their lives at risk," she explained, calling for zero tolerance against such attacks.
박 대변인은 "의료진을 향한 폭력은 환자의 치료에도 피해를 준다. 예를 들어, 방화의 경우 투석이나 인공 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들을 빠르게 대피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생명이 위태로워진다"고 설명하며 이러한 공격은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But Park went on to say that loophole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discourage medical workers from actively filing police reports. Under current laws, assaults against medical workers are unpunishable upon the victim's objection.
그러나 박 대변인은 이어서 현행 법 제도의 허점 때문에 의료진이 경찰에 적극적으로 신고하지 못한다고 전했다. 현행법상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폭행은 피해자가 이의를 제기해도 처벌이 불가능하다.
"In many cases, police who come to the site encourage victims to make settlements with the attackers instead of filing an official complaint. As many crimes go unpunished, people don't seem to b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matter," she said.
박 대변인은 "대부분 사건에서 현장을 방문한 경찰은 공식적인 고소장을 제출하기보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합의하도록 독려한다. 다수의 범죄가 처벌받지 않고 지나가기 때문에 사람들은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KEY WORDS
■ stem 막다, 저지하다
■ assault 폭행
■ alarming 걱정스러운, 두려운
■ department 부서
■ appointment 약속
■ prone to ~을 잘 하는, ~의 경향이 있는
■ sickle 낫
■ undergo 겪다
■ disgruntle 기분 상하게 하다, ~에게 불만을 품게 하다
■ evacuate 대피시키다
■ tolerate 용인하다; 참다
■ literally 문자 그대로
■ overlook 못 보고 넘어가다, 간과하다
■ dialysis 투석
■ ventilator 산소 호흡기
■ file (소송 등을) 제기하다
■ unpunishable 처벌할 수 없는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