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ff Reporter
South Korea is seeking talks with North Korea to turn the Demilitarized Zone (DMZ) along the inter-Korean border into an ecological peace belt, housing faciliti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inter-Korean cooperation.
In a report to President Lee Myung-bak at Cheong Wa Dae Tuesday, Kang Man-soo, chairman of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al Competitiveness, said the DMZ, the legacy of the 1950-53 Korean War, should be preserved by the world as it is home to a variety of rare species, as well as containi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t remains to be seen, however, how North Korea will react amid stalled inter-Korean relations and international tension over its nuclear ambitions.
Late last year, the Lee administration said it would announce a master plan by the end of June to build the eco-peace belt along the DMZ, which is 248 kilometers long and four kilometers wide.
"The DMZ, the symbol of Cold War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division, has been off-limits to civilians for the past six decades. As a result, it's become home to numerous rare species," Kang said.
"We should initiate efforts to preserve the environment of the area and promote its cultural and ecological value globally."
Kang called for inter-Korean efforts to designate the DMZ as an ecological peace belt, saying the designation will help improve the global imag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reate tremendous economic effects for both Koreas.
Seoul can make the DMZ an international tourist spot and raise global awareness of its ecological importance by actively promoting the area in global forums and events, said the former strategy and finance minister.
The council proposed the government establish a bureau inside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to organize global promotion campaigns for the DMZ and tour programs.
It also called for efforts to have the DMZ designated as a biosphere zone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jj@koreatimes.co.kr

DMZ 일대 생태 관광지로 재탄생
비무장지대(DMZ) 일원이 생태보존형 관광 명소로 조성된다.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는 23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0차 회의에서 국무총리실을 포함해 문화체육관관광부, 통일부, 국방부, 환경부 등 9개 부처와 합동으로 마련한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DMZ 일원에는 `DMZ 횡단 자전거길'과 생태평화공원, 산림휴양치유센터 등을 조성하고 민간인통제보호구역 내의 대성동 마을 등 10개 마을을 `체류형 문화관광마을'로 꾸민다.
특히 외부인의 출입이 제한돼온 민통선 출입 절차를 획기적으로 간소화하는 한편 철책선 탐방구간을 기존 1개소에서 3개소 안팎으로 확대하고 땅굴 사진 촬영도 허가할 계획이다.
또 강화 갯벌과 임진강변의 생태계, 두루미.물범 등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가 하면 철원 노동당사 등 근대문화 유적과 조화를 이루는 옛거리를 조성하고 임진강 나루터 황포돛배를 연장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CCTV와 생태자원지도(Eco-Map) 등 첨단장비를 활용해 DMZ와 민통선 지역의 동식물 서식지, 동물 이동경로를 먼 곳에서 관찰하는 `U-ECO 관찰센터'도 들어선다.
DMZ 인접 10개 시.군은 서부(파주), 중부(철원), 동부(고성) 등 권역별로 안보, 생태, 남북교류 등을 주제로 한 거점을 조성한다. 각 시군의 대표적인 축제는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동식물 복원센터와 유기 농산물 재배단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 사업 등 생태계 보전 노력도 병행한다.
지역의 빈집이나 마을회관 등 유휴시설을 중저가 공영 숙박시설로 리모델링하고, 강화∼고성 도로를 개선하고 경원선 철도노선을 복원하는 등 편의시설 확충도 서두른다.
DMZ는 군사분계선 기준으로 남.북쪽으로 각각 2㎞ 이내 지역이다. 정전협정에 따라 1953년 7월27일부터 지정됐다. 민통선은 휴전선 이남 10㎞ 내외의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나 건축물 신.증축 등이 제한된다.